2025/06/29 3

상권 유해 업소 주변 키즈존 문제

도시의 상업지구는 다양한 소비 기능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커피숍, 음식점, 학원, 키즈카페, 병원, 편의점 등 일상과 밀접한 업종들이 혼재해 있으며, 특히 키즈존은 부모와 아이가 함께 방문할 수 있는 상업 공간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키즈존 중 일부가 유흥업소나 성인 유해 시설과 같은 업종 근처에 입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아이의 발달 환경과 정서적 안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호자의 불안감과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실제로 일부 키즈존은 주점, 담배 판매점, 성인용품점 등과 한 건물 내 또는 바로 인접한 곳에 입점하고 있으며, 공간적 제약이나 상권 입지 논리 때문에 그 문제가 가려지기도 한다. 본문에서는 유해 상권 주변 키즈존의 실태와..

키즈존 2025.06.29

병원 내 키즈존 위생 시설, 아이의 건강을 지키는 첫 번째 방어선

병원은 질병 치료의 공간이지만 동시에 다양한 병원균이 존재하는 고위험 환경이다. 성인은 일정 수준의 면역력을 갖고 있어 병원 내 감염을 어느 정도 견딜 수 있지만, 영유아나 어린이에게 병원은 체력적으로나 심리적으로 큰 부담을 주는 공간이다. 특히 대기시간이 긴 소아청소년과나 내과 진료실 앞에 마련된 병원 내 키즈존은 아이의 긴장을 풀어주는 유일한 공간이지만, 이 공간이 위생적으로 관리되지 않는다면 오히려 감염 전파의 온상이 될 수 있다. 최근 코로나19와 노로바이러스 등 감염병 확산 사례에서도 병원 키즈존이 감염 고리로 작용한 정황이 밝혀지며, 병원 내 어린이 놀이 공간에 대한 위생 관리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병원 내 키즈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생 문제를 구체적으로 짚고, 위생 ..

키즈존 2025.06.29

초등학교 키즈존 방과 후 돌봄 정책의 연계 가능성과 실현 과제

초등학교 입학은 많은 부모에게 새로운 걱정을 가져오는 시기다. 바로 ‘방과 후 돌봄 공백’ 문제 때문이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과는 달리 초등학교는 대개 오후 1시 전후로 수업이 끝난다. 그러나 많은 맞벌이 가정은 퇴근 전까지 자녀를 돌볼 수 없는 현실에 놓여 있으며, 공적 돌봄 서비스 역시 지역에 따라 접근성에 큰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부 부모는 민간 키즈존이나 키즈카페를 돌봄 대안으로 활용하기 위해 시작했고, 민간 공간이 공공 돌봄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는 흐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있다. 키즈존은 기존에 단순한 놀이 공간이었지만, 최근에는 학습 보조, 간식 제공, 생활지도까지 포괄하는 하이브리드 돌봄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본문에서는 초등 방과 후 돌봄 정책과 키즈존의 연계 가능성을 실..

키즈존 2025.06.29